>>

> >
> > 【부산】부산지역 자동차대여업계가 업체의 급증에 따른 차량의 공급과잉으로 수급의 균형이 급속히 무너지고 있다.
> > 이에 따라 업체마다 제 살 깍아먹기식 요금덤핑 및 과당경쟁에다 지입제 경영 등으로 `대여질서`가 문란해지고 있어 수급의 균형을 조절할 수 있는 허가제로의 환원 등 정부차원의 특단의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.
> > 24일 부산 렌터카업계에 따르면 경기 불황의 장기화 등으로 대여업체들의 경영난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데도 대여업체는 꾸준히 늘어나 경영여건이 취약한 업체 중심으로 무더기 도산이 우려되고 있다고 밝혔다.
> > 대여업체는 지난 2000년 14개사에서 2001년 16개사, 2002년 24개사, 2004년 3월 말 현재 28개사 등 3년여기간 동안 100% 증가했다.
> > 또 차량은 2000년 2천126대에서 3월말 현재 2천666대로 25.4% 늘어났다.
> > 이 지역 대여업체 가운데 타 시·도에 영업소를 개설해 차량의 상주영업 중인 업체는 극히 일부에 그치고 있는데 반해 서울의 메이저급업체 등 타 시·도업체 중 부산에 거점을 두고 영업을 하고 있는 업체의 차량은 무려 2천여대로 이 지역 전체 등록차량에 육박하고 있다.
> > 이같이 대여업체는 등록제 실시에다 2002년 대여사업의 등록기준대수를 종전 100대 이상에서 50대 이상으로 완화한 이후 급증하고 있음을 반증하고 있다.
> > 대여업계는 수요에 비해 공급과잉으로 균형이 급속히 무너지면서 점차 사라져가던 지입제 경영과 콜영업, 요금덤핑이 되살아나 질서가 문란해지고 있다.
> > 특히 일부 업체의 질서문란이 사법기관의 개입을 초래해 거의 해마다 반복된 수사 등으로 선의의 업체들까지 경영의 위축을 가져오고 있을 뿐 아니라 업계의 이미지도 크게 실추되고 있다.
> > 이와 관련, 관련단체 관계자는 "대여운송사업의 등록제 실시 및 등록기준대수 완화 등으로 공급의 과잉을 불러 선의의 시민들에게 피해가 돌아가는 등 갖가지 부작용이 빚어지고 있는 만큼 렌트카의 수급을 시장의 기능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허가제로의 환원 등 제도적 개선방안 강구가 시급하다"고 말했다.
> > 윤영근기자 ygyoon@gyotongn.com
> >
> > 윤영근 기자 : yjyoon@gyotongn.com
> >
> -------------------- 답 변 1 -------------------
> 사실을 알고 계십니까?
> 지금 용달이나 개인화물등 전에 신고제 였던것들이 모두 묶여있습니다.
> 유독 렌트업계만 정비가 되어있지않네요.
> 연합회도 생겼는데...
> 지금 서로 살기위해서는 더이상 영업신고를 받아주어서는 안됩니다.
> 이런일 누가 해야합니까?
>
>
-------------------- 답 변 7 -------------------